2025년 말이 다가오면서, 만 65세 이상 고령층이 누려왔던 대표 절세 혜택 두 가지가 내년부터 크게 달라집니다.
그동안 “세금 거의 안 붙는 통장”으로 불렸던
① 비과세 종합저축
② 상호금융 예금(농협·신협·수협 등)
이 2가지 제도가 2026년부터는 ‘조건부 혜택’으로 전환됩니다.
즉, 올해(2025년)까지는 65세 이상 누구나 가능하지만,
내년부터는 기초연금 수급자 등 일정 소득요건을 충족한 사람만 가능해집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인 변화 내용과 대응 전략을 정리해볼게요.
1️⃣ 비과세 종합저축, 올해까지만 65세 이상이면 가능
비과세 종합저축은 만 65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었고,
예금 이자나 배당소득에 대해 세금 0원 혜택을 받을 수 있던 대표적인 절세 통장이었습니다.
하지만 기획재정부의 ‘2025년 세제개편안’에 따르면,
2026년 1월 1일부터는 ‘기초연금 수급자 등 저소득층만 신규 가입 가능’하도록 제도가 바뀝니다.
즉, 나이만으로는 더 이상 가입이 불가능해지는 거예요.
| 구분 | 2025년까지 | 2026년 이후(세제개편 후) |
|---|---|---|
| 가입 기준 | 만 65세 이상이면 누구나 | 기초연금 수급자 등 소득요건 충족자만 |
| 비과세 한도 | 5,000만 원 | 동일 |
| 세금 혜택 | 이자·배당소득 세금 0원 | 조건 미충족 시 15.4% 세금 부과 |
| 기존 가입자 | 만기까지 비과세 유지 | 소급 적용 없음 |
💡 예시로 보면
5천만 원을 1년간 예치해 150만 원의 이자가 생길 경우
-
비과세 통장은 세금 0원 → 150만 원 전액 수령
-
일반 통장은 세금 15.4% → 약 23만 원 세금 납부 (실수령액 127만 원)
즉,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면 자동으로 15.4% 과세가 붙는다는 의미예요.
2️⃣ 상호금융 예금(농협·신협·수협 등)도 단계적 과세 전환
두 번째 변화는 ‘상호금융 예·적금’입니다.
지금까지는 농협, 신협, 수협, 새마을금고 등에서 예치한 금액에 대해
이자소득세 14%를 내지 않고 농어촌특별세 1.4%만 내는 사실상 비과세 구조였어요.
하지만 2026년부터는 소득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과세가 신설됩니다.
즉, 고소득자만 해당되는 과세 구조로, 단계적으로 세율이 인상됩니다.
| 구분 | 현재 (2025년) | 2026년 이후 (1단계) | 2027년 이후 (2단계) |
|---|---|---|---|
| 적용 대상 | 조합원·준조합원 누구나 | 총급여 5,000만 원 초과 또는 종합소득 3,800만 원 초과자 | 동일 기준 유지 |
| 적용 세율 | 농어촌특별세 1.4% | 분리과세율 5% 적용 | 분리과세율 최대 9% 예정 |
| 기존 가입자 | 혜택 유지 | 유지 | 유지 |
즉, 퇴직자나 소득이 거의 없는 65세 이상은 기존처럼 1.4% 세율 유지,
하지만 근로·임대·배당 등으로 소득이 있는 사람은 최대 9%까지 세율 인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예금이자 100만 원에 지금은 세금이 1,400원이지만
2027년 이후에는 9,000원까지 늘어날 수 있는 구조예요.
(출처: 기획재정부 2025 세제개편안, PwC Tax Flash 2025.8.11)
3️⃣ 왜 이렇게 바뀌나?
정부는 이번 개편의 핵심 목표를 ‘고소득층 중심의 비과세 축소, 저소득층 지원 강화’로 두고 있습니다.
즉, 과거처럼 나이만으로 혜택을 주는 방식이 아니라,
소득 중심의 맞춤형 지원체계로 전환한다는 의미예요.
4️⃣ 올해 안에 준비해야 할 절세 전략
✅ 비과세 종합저축
→ 2025년 12월 31일 이전에 가입해야 기존 혜택 유지
(가입 시점 기준으로 만기까지 비과세 적용)
✅ 상호금융 예·적금
→ 근로소득, 임대소득 등으로 종합소득 3,800만 원 이상이면
올해 안에 장기 예금 가입으로 세율 고정 가능
✅ 다른 절세 대안
→ 이미 한도 다 채운 경우,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나 IRP(개인형퇴직연금) 같은
다른 절세 상품으로 분산 운용 고려
5️⃣ 한 줄 정리
2025년까지 가입한 상품은 만기까지 혜택 유지,
2026년 이후엔 나이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올해 안이 마지막 골든타임,
특히 소득이 있는 고령층은 세금이 최대 9%까지 오를 수 있으니 서둘러 점검하세요.
📚 참고 출처
-
기획재정부 「2025년 세제개편안」 (공식 PDF p.45~49)
-
PwC Korea Tax News Flash (2025.8.11)
-
뉴데일리 경제 (2025.8.11)
-
브라보마이라이프 (2025.9월호)
-
매일경제 / The Bell 세제 관련 보도자료

0 댓글
💬 질문은 환영! 욕설,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